2011년 국내건설공사 기성액?계약액 부진 지속
- 2010년대비 국내건설기성액 1.3% 감소, 계약액 3.8% 증가
- 공공발주 감소 및 토목공사 위축이 건설경기 회복 발목 잡아
대한건설협회(회장 최삼규)가 발표한 2011년 종합건설업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1년 종합건설업체의 국내 건설공사기성액은 전년대비 1.3% 감소한 132조 9,987억원, 계약액은 128조 8,520억원으로 전년대비 3.8% 증가하였으나, 건설업 디플레이터를 감안한 실질증가율은 1.3% 증가에 그쳐 건설경기의 본격 회복까지는 시일이 좀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건설공사기성액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건설계약액이 ‘08, ’09 2년 연속 큰폭으로 하락했었던 것에 기인하여 전년대비 1.3% 감소함에 따라 지난 ‘10년에 이어 2년 연속 감소세를 지속하는 부진을 보였다. 발주기관별로는 정부?자자체?국영기업체 등 공공부문, 공종별로는 토목과 조경공사의 부진이 두드러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건설공사계약액은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 증가와 부산, 세종시 등 지방의 주택경기 회복으로 주거용건축 및 사무용?공업용 건물 등 일부 비주거용 건축의 호조에 힘입어 전년대비 3.8% 증가하여, ‘10년 1.2% 증가에 이어 미약하나마 2년 연속 증가세를 유지하였다. 발주기관별로는 민간부문, 공종별로는 건축과 산업설비공사가 호조를 보인 반면에, 공공발주와 토목공종은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나,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서는 SOC시설 등 공공투자 확대가 절실한 상황임을 보여주었다.
□ 종합건설업체수 및 국내건설공사 계약액·기성액 추이
□ 공종별 공사기성액
ㅇ 2011년 건설기성액을 공종별로 살펴보면 4대강 지류정비사업의 영향으로 치산·치수, 관개수로 등이 호조를 보였고, 철도와 지하철이 증가했으나, 도로·교량 등 SOC시설 부진으로 토목이 전년대비 6.4% 감소하였고, 건축은 공장, 업무용빌딩 등이 호조를 보였으나 주택경기 침체에 따른 아파트건설 부진으로 전년대비 1.9% 증가에 그침
산업설비는 산업생산 부문이 증가하였으나 기타 플랜트공사가 부진하여 전년대비 0.1%증가에 그쳤고, 조경은 택지조성 등 주택경기 침체 영향으로 14.0% 감소
□ 발주기관별 공사기성액
ㅇ 정부기관·지방자치단체·국영기업체 등 공공발주 공사는 43조 8,967억원으로 전년대비 17.1% 감소하였고, 민간 및 기타부문 발주공사는 전년대비 9.0% 증가한 89조 1,017억원으로 집계
□ 본사소재지별 공종별 기성액
ㅇ 본사소재지별 기성액은 주택경기 회복세가 지방 위주로 이루어짐에 따라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비해 지방업체가 선전한 것으로 나타났고, 공종별로는 토목과 조경공사는 전년대비 감소했으나, 건축과 산업설비공사는 전년대비 소폭 증가하였음.
□ 업체규모별 공사기성액
ㅇ 2011년 업체규모별 기성액을 살펴보면, 토건업체는 101위에서 900위 이내 업체와 단일업종 등록업체가 각각 5.8%, 12.1%로 전년대비 증가하였고, 100위 이내 업체와 901위 이하업체는 각각 전년대비 5.9%, 0.7% 감소하였음.
□ 공종별 공사계약액
ㅇ 2011년 공사계약액을 공종별로 살펴보면 토목이 도로교량 등 SOC시설 발주 부진으로 전년대비 14.1% 감소하였고, 건축은 부산, 세종시 등 지방 주택경기 회복으로 전년대비 12.4% 증가함. 산업설비는 24.6% 증가하며 전년의 호조세를 유지했으나, 조경공사는 전년대비 13.0% 감소하여 ‘10년에 이어 감소세 지속
□ 발주기관별 공사계약액
ㅇ 정부기관·지방자치단체·국영기업체 발주 공사는 40조 647억원으로 전년대비 15.1% 감소한 반면, 민간·기타부문 공사계약액은 15.5% 증가한 88조 7,873억원을 기록하며 전체공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68.9%로 전년대비 6.9%p 확대됨
□ 본사소재지별 공종별 계약액
ㅇ 본사소재지별 계약액을 살펴보면 주택경기 회복세가 세종시 등 지방을 중심으로 진행된데 기인하여 서울지역과 수도권업체 계약액이 전년대비 각각 11.0%, 4.8% 감소한 반면, 지방은 18.7% 증가함. 공종별로는 건축과 산업설비공사는 증가한 반면 토목과 조경공사는 감소하였음.
□ 업체규모별 공사계약액
ㅇ 2011년 공사계약액을 업체규모별로 살펴보면, 국내건설경기 침체 및 해외건설 호조로 상위권 업체가 해외사업에 치중함에 따라 토건순위 100위 이내 업체가 전년대비 3.6% 감소한 반면, 여타 순위 업체는 모두 증가하였음.
■ 조사개요
1. 목 적
ㅇ 종합건설업체의 연간 공사실적(기성, 계약)을 종합·집계하여 정부 및 유관기관의 정책수립과 건설업체의의 경영, 수주계획입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
2. 법적근거
ㅇ 통계법 제15조에 따른 일반통계 제36501호〔승인일자 : 1976. 7.14〕
3. 기 준
가. 기준 시점 : 2011. 12. 31
나. 기준 기간 : 2011. 01. 01 ~ 12. 31
다. 실시 기간 : 2012. 02. 01 ~ 02. 15
4. 조사범위 : 종합건설업 등록업체(토목건축공사업, 토목공사업, 건축공사업, 산업환경설비공사업, 조경공사업)
5. 조사방법 : 대한건설협회를 통하여 건설업체가 자체적으로 계산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의함
6. 참고사항
가. 통계표는 공사실적을 기성액, 계약액으로 구분 수록하였음.
나. 동일 업종간 하도급한 경우, 그 금액은 원도급업체의 기성액에서 제외하였음.
다. 통계표의 공사실적은 전기, 정보통신, 소방시설, 문화재수리 등에 의한 공사실적은 제외함.
라. 통계표의 공사실적은 해외공사실적이 제외되었음.
(북한지역공사는 국내공사실적으로 분류하였음)
마. 표준산업분류의 국내건설업 및 해외건설업의 기본적 자료는 통계청 발행의 「건설업 조사보고서」를 참고하기 바람
바. 전문건설업의 세부적 자료는 대한전문건설협회 발행의「전문건설업통계조사」를 참고하기 바람
사. 주요 (건설)경제지표는 ‘05년(물가지수:’05년)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잠정치로 수록되었던 전년도 통계수치 및 지표는 확정치로 수정하였음.
아. 회사규모별 분류의 경우, “회사규모별”은 업체별 상시종업원수를 기준으로 하였으며,“순위별”은 시공능력평가액 순위를 기준으로 분류한 것임.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