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보도자료

  • 등록일 2019-01-02
  • 담당부서 문화홍보실
  • 조회수1360

19년 상반기 적용 건설업 임금실태조사 결과 공표

- 123개 전체직종 평균임금 직전 반기 대비 3.38% 상승

- 건설업 취업자 증가 및 기능인력 부족 문제가 임금 상승의 주요 요인

 

대한건설협회(회장 유주현)201911일자로2019년 상반기 적용 건설업 임금실태조사결과를 공표하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123직종의 일 평균임금은 전반기 대비 3.38% 상승하였고, 전년동기 대비 8.48%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야별 평균임금 현황

(단위 : , %)

구 분

직종수

공표일

변동율

’19.1.1

’18.9.1

’18.1.1

전반기대비

전년동기대비

전체직종

123

210,195

203,332

193,770

3.38

8.48

일반공사직종

91

197,897

190,702

181,134

3.77

9.25

광전자직종

3

316,642

305,604

282,575

3.61

12.06

문화재직종

18

244,131

237,460

230,322

2.81

6.00

원자력직종

4

219,314

224,152

222,895

-2.16

-1.61

기 타 직 종

7

231,976

224,043

209,344

3.54

10.81

 

평균임금 현황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전체 123개 직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91개 일반공사직종은 전반기 대비 3.77% 상승하였고, 광전자 3.61%, 문화재 2.81%, 기타직종은 3.54% 상승하고 원자력 직종만 2.16%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건설협회 관계자는 청년층의 건설업 기피 및 기능인력의 령화, 불법 외국인력 단속 등에 따른 인력수급 문제가 건설업 취업자 증가*와 맞물려 임금을

 

 

상승시키는 데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 ’189건설업 취업자(전년동월비) 45천명 증가 매월노동시장동향분석보고서(고용노동부,’18.10)

 

직종별로는 미장공(11.4%) 등 마감공종과 용접공(10.2%) 등 외국인 근로자 진입이 어려운 직종이 크게 상승했고, 탈원전 정책의 여파로 인해 원자력 관련 직종이 전반적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번 건설업 임금실태조사 통계는 전국 2,000개 공사현장의 20189건설근로자 임금을 조사ㆍ집계한 것으로 201911일부터 건설공사 원가계산에 적용할 수 있으며, ‘건설업 임금실태조사 보고서는 대한건설협회 홈페이지(http://www.cak.or.kr) 건설업무 건설적산기준 건설임금 메뉴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붙 임 : 2019년 상반기 적용 건설업 임금실태조사 보고서 - 1. .

 

이전글
이전 글이 없습니다.
다음 글이 없습니다.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