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도 종합건설업체 시공능력평가 공시
- 토목건축공사업 시공능력평가 1위 삼성물산
·호주 로이힐 수주 및 삼성그룹 계열사의 투자증가로 1조 8천억원 상승
- 산업환경설비공사업 시공능력평가 1위 현대건설
·고부가가치 해외플랜트 등 수주구조 변화로 사상 첫“10조원”돌파
대한건설협회(회장 최삼규)가 전국 1만 82개 종합건설업체의 공사실적, 재무상태, 기술능력, 신인도 사항을 종합평가해 업체별 2014년도 시공능력을 산정한 결과, 토목건축업종에서 삼성물산이 13조 1,208억원으로 9년만에 1위를 회복하였다.
2위는 현대건설이 12조 5,666억원으로 1계단 내려앉았고, 3위였던 대우건설은 실적감소와 순이익이 적자로 돌아서면서 5위로 물러났다. 포스코건설은 지난해 보다 시공능력이 1,534억원 늘어난 9조 22억원으로 3위를 차지하였으며, 대림산업은 8조3,316억원으로 작년과 동일한 4위를 지켰다.
작년 현대엠코와 합병을 통한 시너지효과로 현대엔지니어링은 3조 2,139억원을 기록하면서 지난해 54위에서 10위로 ‘Top 10’에 새롭게 진입하였다.
대한건설협회는 삼성물산이 올해 정상을 차지한 요인으로 작년 호주 로이힐 광산개발 프로젝트 관련 58.5억불을 수주하는 등 안정적인 실적과 삼성그룹 계열사의 집중적인 투자 결과로 분석하였다.
국내 건설경기 불황으로 국내 대형사들의 해외시장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해외건설 중 대표 공종인 플랜트건설 수주가 큰 비중을 차지하여 산업환경설비공사업 시공능력에서 현대건설이 사상 처음으로 10조원을 돌파한 10조 4,852억원으로 1위를 차지하였다.
그 뒤를 이어 현대중공업이 8조 9,804억원으로 2위, 삼성물산이 8조 9,764억원으로 3위를 차지하는 등 토목건축공사업이 2010년 처음으로 10조원시대를 개막한 이후 산업환경설비공사업도 4년만에 10조원을 돌파하는 등 빠르게 급성장 하고 있어 건설산업의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공능력평가액 부문별로 살펴보면 최근3년간 공사실적이 반영되는 실적평가는 삼성물산이 4조 9,288억원으로 1위, 현대건설과 포스코건설이 각각 4조 5,889억원과 3조 8,203억원으로 2, 3위를 차지하였다.
자본금 등 재무상태를 평가하는 경영평가와 안전?환경?품질 및 협력관계를 평가하는 신인도평가 에서도 삼성물산이 3조 8,776억과 1조 1,172억원으로 1위차지 하였고, 현대건설이 각각 3조 6,380억원과 9,178억원으로 2위를 차지하였다.
기술자수 및 기술개발투자비 등을 반영하는 기술능력평가는 현대건설이 3조 4,220억원으로 1위를 기록하였다.
세부적으로 2013년도 업종별 기성실적을 살펴보면 토목분야는 삼성물산이 2조 6,668억원으로 1위, 현대건설이 2조 6,078억원으로 2위, 대림산업이 1조 5,047억원으로 3위를 차지하였다.
건축분야 실적은 삼성물산이 5조 8,218억원으로 1위에 올랐고 포스코건설이 4조 6,980억원, 대우건설 3조 7,345억원으로 2와 3위를 기록하였다.
산업환경설비분야는 삼성엔지니어링이 7조 6,276억원으로 1위, 조경분야에서는 호반건설이 603억원으로 1위에 올랐다.
그리고, 업체별 보유기술자수는 현대건설이 5,087명, 삼성물산 4,766명, 대우건설 4,263명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시공능력평가는 국내 공공건설실적이 감소하면서 공공시장에만 의존하던 건설업체들은 성장둔화, 수익성 악화로 부진한 반면, 부동산 경기가 점차 회복되어감에 따라 주택공급을 주력분야로 하는 부영주택, 금성백조주택, 금강주택 등 업체들의 금년도 시공능력평가 순위가 대폭 상승 하였다.
특히, 해외공사의 경우 일부업체의 적자시공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이들 업체 대부분은 시공능력순위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 시공능력평가 제도는 건설업체의 공사실적, 재무상태, 기술능력, 신인도 사항을 종합평가해 공시하는 제도로 발주자가 적절한 건설업자를 선정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기준이 되며, 공공공사의 등급별 유자격자 명부제, 중소업체의 균형발전을 위한 도급하한제 및 제한경쟁입찰의 자격제한 기준 등의 평가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첨 부 : 1.’14년 종합시공능력평가액 상위 100개사 현황.
2. 시공능력평가액 및 부문별 상위 10개사 현황.
3.’14년 업종별공사실적 및 기술자수 상위 10개사 현황.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