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안전정보

  • 등록일 2022-04-05
  • 담당부서 기술안전실
  • 조회수72

안전 전문자료

 

[PDF문서] 지하안전영향평가서 검토 사례집(2019.12) https://bit.ly/34wOhEs

 

[PDF문서] 해체계획서 작성 매뉴얼 및 표준서식 배포 https://bit.ly/3gBoOwc

 

보도용 안전정보

건설현장, 이렇게 관리하면 안전해요 '건설안전 컨설팅 실무' 발간 https://bit.ly/3qeDaaN

 건설현장 점검과 안전컨설팅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집 '건설안전 컨설팅 실무'를 발간

안전점검 및 주요 지적사항, 품질관련 주요 점검 대상, 사고사례, 안전관리 우수 사례,

소규모 안전관리계획 검토 매뉴얼 등으로 제작

 

영상 콘텐츠 

건설공사 참여자의 안전관리 수준평가 제도 소개 https://youtu.be/MmfMAKLdsYQ

 건설기술진흥법에 의한 안전관리 수준평가 제도에 대한 정보 제공

1. 시행목적 : 평가를 통한 발주청 및 업체별 안전관리 수준 파악, 자발적인 안전관리 역량강화 유도
2. 평가대상 : 총 공사비 200억원 이상의 건설공사 참여자
3. 평가시기 : 당해년도 9월까지 평가 완료
4. 이의제기 : 결과를 통보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 관리원에 이의 신청(1회에 한함)

 

[3D 건설사고 사례 영상] 아파트 신축공사 중 붕괴사고 https://youtu.be/QmJ6JQZaZ7Q

-  건설사고 사례를 3D영상으로 제공하여 사고정보의 직관적인 전달과 유사 건설사고 재발방지를 도모

작업과정 : 1. PIT층 바닥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완료
               2. 데크플레이트 설치를 위한 콘크리트 가벽 임의설치
               3. 하부 3개층 동바리(가설지지대) 임의 제거
               4. 39층 바닥 슬래브 타설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설치
               5. 슬래브 상부근 배근

 

SNS 콘텐츠 

 

[카드뉴스] 국토안전관리원 공공데이터 소개 https://blog.naver.com/kalis_pr/222603433707

-  국토안전관리원의 주요 개방 데이터와 개방 예정인 데이터 소개

열람 및 다운로드 : 공공데이터 포탈(www.data.go.kr)

건설안전 분야 : 건설안전사고 발생현황, 위험요소 프로파일 등
시설안전 분야 : 노후화 공공시설물 현황, 안전진단 전문기관 현황 등
개방 예정 데이터 : 건설사고 데이터, 건축분쟁전문위원회 FAQ 등

이전글
이전 글이 없습니다.
다음 글이 없습니다.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