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협회, 기술형입찰 등 유찰 개선대책 건의
- SOC 적기 공급을 통한 민생 안정을 위해서는 대책 마련 시급-
0 대한건설협회(회장 김상수)는 기술형입찰* 등 대형공사의 잇따른 유찰로 인해 공공 인프라 사업의 정상 추진이 어려워짐에 따라, 관계부처**에 「SOC 적기 공급을 위한 기술형입찰 등 유찰 개선방안」을 건의(1.26)하였다.
* (기술형입찰) 설계와 시공이 결합된 형태의 입찰방식(일괄입찰, 대안입찰, 기술제안입찰)을 통칭. 고난이 및 고품질 및 창의성이 요구되는 공사, 공기단축이 필요한 공사 등에 적용 (주로 대형 국책사업, 지자체 핵심사업 등에 대해 적용)
** 국무조정실,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조달청
0 최근 수년간 대내외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자재비, 인건비 등 공사원가는 급등*한 데 반해, 공공공사의 발주금액은 적정하게 반영되고 있지 않아, 기술형입찰을 중심으로 유찰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으로, 최근 2년간 기술형입찰의 유찰률은 68.8%에 육박하고 있다.
* (건설공사비지수) ’15년 100.0 → ’21년 132.3 → ’23.11월 153.4
<기술형 입찰 유찰 현황>
구 분 |
계 |
국가 |
지방 | ||||||
공고 |
유찰 |
공고 |
유찰 |
공고 |
유찰 | ||||
건수 |
건수 |
비중 (%) |
건수 |
건수 |
비중 (%) |
건수 |
건수 |
비중 (%) | |
일괄입찰 |
30 |
21 |
70.0 |
20 |
13 |
65.0 |
10 |
8 |
80.0 |
대안입찰 |
2 |
2 |
100.0 |
2 |
2 |
100.0 |
|
|
|
기본설계기술제안 |
19 |
15 |
78.9 |
7 |
5 |
71.4 |
12 |
10 |
83.3 |
실시설계기술제안 |
13 |
6 |
46.2 |
8 |
5 |
62.5 |
5 |
1 |
20.0 |
계 |
64 |
44 |
68.8 |
37 |
25 |
67.6 |
27 |
19 |
70.4 |
※ ’22.1.1~’24.1.25 G2B 발주공사(최종공고일 기준)
0 특히, 정부나 지자체가 추진중인 교통시설 등 핵심사업들이 줄줄이 유찰되면서 주요 인프라시설의 공급이 지연될 것으로 예측되고, 부족한 공사비로 인한 품질 저하도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주요 SOC 프로젝트 유찰 사례>
구 분 |
발주금액(억원) |
입찰방식 | ||
GTX B노선 (용산~상봉) |
제1공구 |
4,380 |
기술형입찰 | |
제2공구 |
3,442 | |||
제3공구 |
6,367 | |||
남부내륙철도 |
1공구 |
5,187 | ||
9공구 |
5,234 | |||
10공구 |
2,166 | |||
제2경춘국도 (남양주~춘천) |
1공구 |
3,446 | ||
2공구 |
2,719 | |||
3공구 |
3,274 | |||
4공구 |
1,707 | |||
부산항 진해신항 |
남방파제(1단계) |
2,944 | ||
준설토투기장(3구역) 호안(2공구) |
3,618 | |||
남측 방파호안(1단계 2공구) |
3,516 | |||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건설공사 |
광화문 일대 |
2,433 | ||
강남역 일대 |
3,934 | |||
도림천 일대 |
3,570 | |||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
1공구(건축 및 시스템) |
3,275 | ||
2공구(건축 및 시스템) |
3,170 | |||
서남집단에너지시설 2단계 건설공사 |
3,811 | |||
광주도시철도 2호선 2단계 |
7공구 |
1,517 |
非 기술형입찰 (종합평가낙찰제) | |
10공구 |
1,140 | |||
14공구 |
1,322 |
0 협회는 공공공사 유찰의 핵심원인은 “경직된 예산 및 발주 시스템”에 있다고 판단하고, 건설공사의 사업추진 단계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술형입찰 등 유찰 해소방안〉
사업 단계 |
개선방안 |
사업비 책정 |
0프로젝트 초기 단계부터 개별공사의 특성?시공여건 등을 반영한 적정 사업비 산정체계 마련 0총사업비 자율조정 활성화 0국가?지방계약법상 공사비 적정 산정 의무화 0장기계속계약 축소 및 계약금액 조정과 예산확보 분리 등을 통한 공기연장비용 리스크 최소화 |
발주?입찰 |
0비효율을 초래하는 쪼개기식 자재 및 개별공종 분리발주 지양 0시공사에 부담을 전가하는 설계?입찰조건 등 독소조항 개선 0설계보상비 현실화 및 지급시기 단축 0유찰에 따른 수의계약 원활화 |
계약 이행 |
0장기계속공사 총공사기간 연장에 따른 추가비용 지급근거 마련 0물가변동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요건 완화 0시공사 책임없는 사유로 인한 설계변경시 계약금액 조정 허용 |
0 김상수 회장은 최근 경제위기로 민생경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조속한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건설투자 확대가 필수적이며, 투자총량의 확대뿐 아니라 개별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적정 수준의 재원을 투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특히, 정부가 발표(1.25)한 「교통분야 3대 혁신전략」* 및 「가덕도 신공항 건설사업」 등 메가프로젝트의 정상 추진을 위해서는 반드시 제도 개선이 필요하며,
* 정부는 GTX A,B,C 연장사업, 광역,도시철도망 확충사업, 경부,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사업 등에 대해 재정사업으로 추진 계획중
- 이를 통해, 고품질의 인프라 적기 공급을 통한 국민생활 불편 해소, 노후시설물의 안전 제고, 낙후지역 인프라 건설을 통한 지방균형발전 달성 등 국민의 복리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별첨 : 「SOC 적기 공급을 위한 기술형입찰 등 유찰 해소방안」 1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