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건설협회(회장 최삼규)에서 조사·발표한 국내건설 수주동향조사에 따르면, 2014년 국내건설공사
수주액은 107조 4,664억원으로 전년대비 17.7% 증가 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 [전체] (‘13년) 91조 3,069억 → (’14년) 107조 4,664억(17.7% 증가)
(‘12년) 101조 5,061억 →(14년) 107조 4,664억(5.9% 증가)
? 2014년 국내건설수주액을 발주부문별/공종별로 살펴보면,
- 공공부문 수주액은 40조 7,306억원으로 전년대비 12.6% 증가하여 2013년 이후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공종별로는 토목부문에서는 대형 국책사업은 없었으나 도로교량(수도권 제2순환 화도-양평간 고속도로,
산성터널 3공구, 덕적도∼소야간 연도교건설), 철도궤도(김포도시철도, 원주-강릉철도, 진접선 복선전철)
를 포함한 여타 지자체의 SOC물량 및 치산치수(양산천, 내성천, 신천 재해예방사업, 광주천 수질정화),
농림수산(산동·금학지구 농촌용수개발사업) 등 전 공종의 고른 상승으로 전년대비 22.3% 증가 하였고,
공공건축은 보금자리 주택이나 혁신도시관련 공사가 마무 리단계에 접어들면서 주거용 및 학교,병원,
관공서 물량이 부진했으나 사무용 건물(한국동서발전 사옥 한국전력공사 본사 신 사옥, 장애인 문화예술
센터)과 기타 지역 문화체육시설(이순신종 합운동장 시설확충, 종합스포츠센터 공사) 물량의 호조로
전년대비 0.6% 증가.
* [공공] (‘13년) 36조 1,702억 → (14년) 40조 7,306억(12.6% 증가)
[토목] (‘13년) 20조 633억 → (14년) 24조 5,342억(22.3% 증가)
[건축] (‘13년) 16조 1,069억 → (14년) 16조 1,965억(0.6%증가)
- 민간부문 수주액은 전년도의 큰 폭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 영향으로전년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민간토목은 치산치수와 농림수산 및 항만·공항, 토지조성에서 물량이 소폭 증가 하였으나, 도로교량, 철도궤도, 상하수도, 발전송전배전 등 SOC민자사업 부진으로 감소세를 기록하였다. 민간토목은 2012년도의 50% 수준에 불과한 실적으로 민자·PF사업의 활성화가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공종에서는 작업용 건물과 학교,병원 및 기타 지역 문화·체육·종교시설은 부진했으나 신규주택(용호만 W주상복합, 송도 베르디움, 시흥배곧도시 호반베르디움, 아산탕정 개발지구, 힐스테이트 영동신축, 구리갈매 신축)과 재건축(대구신암 주택재건축, 공릉1 주택재건축, 고덕주공4단지 주택재건축)의 호조가 전체적인 민간부문의 상승을 이끌어 전년대비 29.2% 증가
* [민간] (‘13년) 55조 1,367억 → (’14년) 66조 7,361억(21.0% 증가)
[토목] (‘13년) 9조 8,406억 → (’14년) 8조 1,956억(16.7% 감소)
[건축] (‘13년) 45조 2,962억 → (’14년) 58조 5,403억(29.2% 증가)
? 2014년 실적을 발주기관·용도별로 보면,
- 공공 발주기관중에는 국영기업체가 18.0%, 공공단체가 36.1% 증가하였고 민간에서도 21.0%
증가하였다.
- 특히 민간부문의 주거용(재건축·재개발주택 등)이 전년보다 47.8% 증가한 35조 8,286억원을 기록,
수주증가를 이끌었으며, 오피스텔·숙박시설 등 상업용 건물(31.4%)에서도 증가세가 이어졌다.
그러나 민간투자사업(BTL)·설비투자의 부진으로 민간토목은 9.8조원에서 8.2조원으로 16.7%
하락하였다.
? 협회 관계자는 “2014년 건설수주가 전년도의 극심한 침체를 극복하고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비록 기저효과에 따른 영향이기는 하나 전전년도의 수주실적을 만회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2014년 수주증가가 주거용(재건축, 재개발) 건축공사의 영향이 있다면, 2015년도에는 추진되고 있는
각종 정책효과에 힘입어 상·공업용 부문에서도 실적이 개선되기를 바라며 “靑羊”의 상서로운 기운을
받아 건설업계가 양적·질적으로 더 도약할 수 있는 터닝 포인트가 되는 한 해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 협회에서 조사·발표하는 국내건설공사수주는 통계청의 건설경기동향 조사와 협회 자체결과를
종합하여 분석한 자료로서 신규수주 뿐만 아니라 장기계속 공사 및 증액공사 등이 포함되었음.
붙 임 : 1. 2014년 국내건설수주 동향 보고서 1부.
2. 2014년 건설수주액 분석표(엑셀자료) 1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