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금융위기 여파에 심한 몸살
- 주택주력업체 수익성 악화 두드러져
- 위험 회피를 위한 사업포트폴리오 조정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 대한건설협회(회장 최삼규)가 금융위기 기간중 종합건설업체의 매출구조별 수익성지표 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매출액중 분양매출 비중이 70% 이상인 주택주력업체가 금융위기로 인한 타격이 컸던 반면, 비건설매출 비중이 50% 이상인 겸업업체는 상대적으로 피해가 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 주택주력업체는 이자보상비율이 ‘07년 2.4배에서 ’10년 1.3배, 매출액영업이익률도 11.1%에서 6.7%로 하락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매출액순이익률은 ‘07년 6.8%에서 ’10년에는 이자비용 및 대손상각 증가 등으로 영업외비용이 크게 증가하여 -2.6%를 기록
○ 겸업업체는 이자보상비율이 ‘07년 6.9배에서 ’10년 4.9배로 하락했으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6.7%에서 8.0%로 상승하였고, 매출액순이익률은 6.5%에서 5.7%를 기록, 금융위기 여파가 파급되기 이전인 ‘07년 수준에 근접
○ 금융위기 여파로 주택경기 침체가 장기화됨에 따라 주택사업비중 축소, 비건설분야 진출 증가 등 사업포트폴리오 조정으로 주택주력업체수는 ‘07년 194개사에서 ’10년 113개사로 81개사가 감소한 반면에 겸업업체수는 278개사에서 327개사로 49개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이에따라 전체건설매출액중 주택주력업체의 점유비중은 ‘07년 6.6%에서 ’10년 4.2%로 축소되었고, 겸업업체는 6.4%에서 7.3%로 확대됨.
□ 이같은 결과에 대해 협회 관계자는 미국의 서브프라임모기지 부실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가 ‘08년부터 우리나라에 본격 전이되면서 건설업계 특히, 주택주력업체는 외환위기 이상의 시련을 겪었으며 ’10년 GDP성장률이 6.2%를 기록하는 등 여타산업은 빠르게 회복되었으나 건설업의 어려움은 아직도 진행중이라며,
공공공사 물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건설업체의 거의 유일한 사업 확장 수단이 주택사업일 수 밖에 없어, 금융위기 기간중 워크아웃이나 기업회생절차 신청 등 구조조정이 진행중이거나 경험했던 업체 대부분이 주택 위주의 개발사업 확대와 관련이 있었던 만큼, 외부 경제상황이 불확실 할수록 보수적인 사업운영과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사업 포트폴리오를 조정하여 대응하는 것이 기업의 생존과 지속발전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끝.